학습

식물보호기사 응시자격, 학점은행제로 만드는 방법!

슬요생 2022. 4. 20. 15:50




안녕하세요 :)


이번에 학점은행제를 활용해서
식물보호기사 응시자격을 만들고
현재 자격증 공부를 하고 있는데요.


응시요건이라는게 있어서
이걸 최대한 빠르게 만들고


남은 시간을 시험공부에만
투자를 하고 있답니다.


제가 경력이나 학력 대신
이 제도를 이용해서


시험 응시에 필요한
조건을 빠르게 충족했었는데요.


제가 이 과정을 진행하면서
유익했던 점과 정보들을
나누면서 후기글을 적어보려고 해요.


제가 했던 것들은 멘토쌤께서
제 상황에 맞게 플랜을 세워주신거라서
참고만 하셔서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어려서부터 산에서
지내와서 그런지 나무에
관심이 정말 많았었는데요.


그렇다보니 수목원이나
이쪽으로 진로를 잡았었어요.


하지만 이쪽으로 관련된
학과가 그리 많지 않다보니


그냥 성적에 맞춰서 나름
비슷한 분야쪽으로 갔었고


저는 환경전공으로 2년제를
다니면서 식물관련 라이선스를
찾아보게 되었답니다.





최종적으로 산림이나 수목원
이와 관련된 쪽으로 일을 하고 싶었고


이쪽으로 라이선스를 취득하면서
미래를 준비하려고 했었답니다.


관련 라이선스 중에서 식물보호쪽이
그마나 난이도가 쉽다고해서


산림이나 조경 대신
이것부터 준비를 하게 되었답니다.









식물보호기사에 대해서 찾아보니
산업기사보다는 난이도가 있었는데요.


저는 관련과를 나왔기 때문에
산기는 바로 볼 수 있었지만


어차피 이쪽으로 진로를 설정했으니까
더 높은 단계를 준비하자고 결심했었어요.


당연히 이것도 시험을 보기 위한
응시요건이 따로 있었는데요.


산기보다 더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해야만 시험을 볼 수 있었어요.





크게 세 가지 중 하나라도
충족이 되면 응시를 할 수 있었는데요.


관련학과로 4년제를 졸업했거나
4년 이상의 관련 실무 경력이 있는 사람,
그리고 학은제로 106학점을 이수한 사람.


이렇게 세 가지 중에서
하나라도 충족이 되야 했었답니다.


저는 2년제를 졸업했기 때문에
학력으로는 만들 수 없었고


이쪽으로는 아직 일을 해본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경력으로도 이 조건을 만들 수 없었어요.




결국 제가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학은제를 통해서 하는 것 밖에 없었어요.


하지만 이걸 어디서 어떻게
시작을 해야하는지 몰랐었는데요.


관련 내용을 블로그를 통해서
접하게 되었고 블로그에 있는
번호로 연락을 해서 상담을 받게 되었답니다.







상담을 받아보니 식물보호기사 응시자격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자격증 응시요건도
학은제를 통해서 채울 수 있었는데요.


이게 가능했던 이유가 학은제는
교육부에서 운영하는 일종의
온라인 대학교였었어요.


그렇기 때문에 이 제도를 활용해서
일정 학점을 만들게 되면


국가기술직에 필요한 자격을
만들 수가 있었는데요.


각 과정에 맞는 학점을 채울 경우
학위취득부터 자격증까지
다양하게 활용을 할 수 있었어요.


보통 수업을 통해서 이 학점을
얻을 수가 있었고 여기서 추가적으로


기간을 줄이고 싶으면 다른
방법들을 활용하면 됐었어요.


그리고 이 제도는 국가평생교육제도여서
직장인이나 주부를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수업 난이도도 비교적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었어요.


수업료 부분에 있어서도
이게 교육부에서 하는거다보니


다른 기관에서 하는 것보다
경제적으로 할 수 있었답니다.






식물보호기사에 필요한
조건을 만들기 위해서는
106학점만 만들면 됐었는데요.


보통 수업을 통해서
이 점수를 딸 수 있었는데


이렇게만 진행을 할 경우
학점이수제한이라는게 있어서


1학기에 24점, 1년에 42점까지만
수업을 통해서 점수를 얻을 수 있었어요.


그리고 여기서 추가적으로
점수를 더 따고 싶으면


자격증이나 전적대, 독학사 등을
이용해서 얻으면 됐었어요.


저의 경우 전문대를 졸업했기 때문에
전적대를 활용할 수 있었는데요.


2년제의 경우 최대 80점까지
가지고 올 수가 있어서


저는 이 점수를 가지고 와서
추가적으로 26점만 더 따면 됐었어요.


하지만 그래도 24점이라는
제한에 걸려서 2학기가 걸렸었는데요.


저는 최대한 기간을 단축하고 싶어서
쌤이 추천한 쉬운 자격증을


따로 취득을 해서
1학기 과정으로 진행을 했었어요.







수업은 모두 온라인으로만
진행이 됐었는데요.


온라인 특성상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아무때나 들을 수 있었고


출석기간도 2주로 널널해서
여유롭게 할 수 있었어요.


그리고 이게 대학과정이다보니
중간에 과제나 시험도 있었는데요.


이 부분은 멘토쌤께서 참고할 만한
자료들을 따로 제공해주셔서


이 자료를 활용해서 어렵지 않게
제출을 할 수 있었어요.


그리고 100점 중 60점만
넘으면 통과였기 때문에
성적에 대한 부담감 없이 할 수 있었답니다.


저는 이렇게 해서 단 1학기만에
식물보호기사에 필요한
조건을 만들게 되었는데요.


학력과 경력으로 만드는 것보다
훨씬 더 빠르게 만들 수 있었어요.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 중에
저처럼 응시자격부터 만들어야 한다면


이 제도를 이용해서 효율적으로
준비해보시는걸 추천드릴께요.


그리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멘토쌤에게 물어보면 좋을 것 같아요!


https://bit.ly/3pm1vLZ

[T.S]상담신청서

form.office.naver.com

공정거래위원회의 「추천•보증 등에 관한 심사지침」에 의거해 작성한 글임을 밝힙니다.